스마트 트레이딩

그리드 봇

이용자가 설정한 가상자산의 호가(그리드) 범위 내에서 가상자산을 자동으로 매수하거나 매도합니다

시세보다 높은 가격으로 일정한 호가마다 매도 주문을, 낮은 가격에서는 일정한 호가마다 매수 주문을 생성합니다

현재가 100만원인 가상자산을 최저 50일, 최고 150일까지 10일 단위로 매매할 때, 110일부터 150일까지 매도 주문을, 90일부터 50일까지는 매수 주문을 각각 균등하게 생성합니다.
단, 매도 주문 생성을 위해 보유 자산이 필요하므로 현재가 수준에서 가상자산을 매수한 후 주문을 생성합니다.
스마트 트레이딩

무제한 그리드 봇

이용자가 설정한 가상자산의 목표 평가금액을 유지하기 위하여 일정한 주문 간격(그리드)마다 가상자산을 자동으로 매수하거나 매도합니다

가상자산의 시세가 상승했다면 목표 평가금액 대비 차익을 위한 매도 주문을, 그 반대의 경우에는 목표 평가금액 충족을 위한 매수 주문을 생성합니다

목표 평가금액이 1,000만원이고 주문 간격이 5%일 때, 시세 상승으로 평가금액이 1,050만원이 되었을 때 차익 50만원 상당 가상자산이 매도되어 목표 평가금액을 유지하게 됩니다. 반대의 경우에는 그만큼 차익 상당의 가상자산이 매수되어 목표 평가금액을 유지합니다.
코빗 거래소 바로가기

자주 묻는 질문

코빗의 오토 트레이딩 서비스란 무엇인가요?
오토 트레이딩 서비스는 트레이딩 봇을 이용해 이용자가 사전에 설정한 규칙에 따라, 이용자가 할당한 자산을 이용해 자동으로 가상자산을 매매하는 서비스입니다. 트레이딩 봇으로는 그리드 봇과 무제한 그리드 봇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리드 봇은 이용자가 설정한 가격 범위를 같은 간격으로 나누어 지정된 호가에 주문을 냄으로써 저가 매수, 고가 매도를 반복하는 전략을 취합니다.
무제한 그리드 봇은 봇 생성 시점의 가상자산 시세로부터 일정한 비율마다 높은 호가, 낮은 호가를 미리 계산하여 그리드 봇과 마찬가지로 그 호가에 주문을 냄으로써 저가 매수, 고가 매도를 반복함으로써 이용자가 보유한 가상자산의 가치가 이용자가 설정한 목표 평가금액에 가깝도록 유지하는 전략을 취합니다.
오토 트레이딩 서비스는 어떻게 이용하나요?
웹에서 이용하실 경우: 웹사이트 상단 [서비스] - [오토 트레이딩] 선택 후 [그리드 봇 만들기] 또는 [무제한 그리드 봇 만들기] 메뉴 이용 앱에서 이용하실 경우: 앱 [전체] 메뉴 - [오토 트레이딩] 선택 후 [그리드 봇 만들기] 또는 [무제한 그리드 봇 만들기] 메뉴 이용
오토 트레이딩 서비스는 누구나 이용할 수 있나요?
코빗 회원가입 후 고객확인 및 신한은행 계좌 연동을 완료하신 회원 중 이용약관 위반 등 결격사유가 없는 회원이라면 누구나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트레이딩 봇은 몇 개까지 만들 수 있나요?
가상자산 하나마다 하나의 봇을 만들 수 있으며, 트레이딩 봇은 최대 10개까지 실행하실 수 있습니다.
오토 트레이딩 서비스는 가상자산의 종류나 금액에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나요?
오토 트레이딩 서비스는 모든 가상자산에 대해서 제공되지는 않습니다. 예를 들어, 새로 거래지원이 이루어지는 가상자산의 경우 일정 기간이 도과한 후 오토 트레이딩 지원이 시작될 수 있습니다. 또한, 개별 설정에 따라 달라지지만 기본적으로 총 투자금 또는 목표 평가금액은 10만원 이상 10억원 미만으로 입력이 가능합니다.
오토 트레이딩 서비스의 수수료는 얼마인가요?
가상자산 매수, 매도에 따른 수수료는 일반 주문과 동일하며 오토 트레이딩 서비스만의 수수료는 별도로 없습니다.
트레이딩 봇의 결과 손익은 어떻게 계산되나요?
차익실현손익이란 (매도 금액 - 매도한 수량에 대한 매수 금액)을 의미합니다. 미실현평가손익이란 (매수한 수량 - 매도한 수량) X (현재가 - 트레이딩 봇 평균 매수 단가)를 의미합니다. 누적손익금액이란 차익실현손익과 미실현평가손익을 합산한 금액입니다.
트레이딩 봇을 그만 종료하고 싶어요.
[오토 트레이딩] 메뉴에서 [내 트레이딩 봇] 메뉴를 선택하시고, 종료를 원하시는 트레이딩 봇에서 [더 보기]를 선택하세요. 나타나는 [종료하기] 버튼을 누르시면 해당 트레이딩 봇이 종료됩니다.
종료하기를 누르시면 해당 트레이딩 봇이 낸 미체결 주문들이 모두 취소됩니다.
가상자산 시세가 트레이딩 봇에서 지정한 가격 범위를 벗어나면 어떻게 되나요?
그런 경우에 트레이딩 봇이 종료되지는 않습니다. 단지 더 이상 새로운 주문을 내지 않을 뿐입니다. 향후 가상자산의 시세가 다시 트레이딩 봇에서 지정한 가격 범위 내로 돌아오면 다시 주문을 내고 매수, 매도를 반복합니다.
이미 생성한 트레이딩 봇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나요?
이미 생성한 트레이딩 봇의 설정을 변경할 수는 없습니다. 다른 설정을 원하신다면, 기존의 트레이딩 봇을 종료하시고 새로운 봇을 생성해 주세요.
트레이딩 봇의 거래내역을 확인할 수 있나요?
[오토 트레이딩] 메뉴에서 [내 트레이딩 봇]을 선택하신 후, 거래내역 확인을 원하시는 트레이딩 봇을 찾아 [더 보기]를 선택하신 후, [미체결 주문내역]이나 [체결된 주문내역] 버튼을 누르시면 됩니다. 이미 종료된 트레이딩 봇은 체결내역만 조회할 수 있습니다.
그리드 봇의 매수/매도 수량이나 무제한 그리드 봇의 매수/매도 금액이 왜 다른가요?
현재 코빗에서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은 매수 수수료를 가상자산으로 수취합니다. 그리드 봇은 지정가 주문만을 사용하여 주문을 내지만, 메이커(Maker)가 아니라 테이커(Taker) 주문으로 체결될 경우 그에 따른 체결 수수료가 부과되는데, 매수 수수료를 가상자산에서 수취하는 가상자산의 경우에는 매수한 수량과 같은 수량을 매도할 수 없습니다. 이를 고려하여 그리드 봇의 매도 수량이 매수 수량보다 조금 더 적게끔 설계되어 있습니다.
무제한 그리드 봇은 일정 비율의 가격대마다 주문을 냅니다. 예를 들어, 현재가가 500만원인 가상자산에 대해서 5% 간격마다 주문을 내서 평가금액을 1,000만원에 가깝게 만드는 봇의 경우, 해당 가상자산의 가격이 525만원으로 상승하면 평가금액이 1,050만원이 될 것이므로 미리 50만원 상당의 매도 주문을 내게 됩니다. 반대로, 가상자산의 가격이 525만원에서 500만원으로 하락하는 경우에는 평가금액이 1,000만원에서 약 952만 4천원이 될 것이므로 미리 47만 6천원 상당의 매수 주문을 내게 됩니다.
코빗 거래소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