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tures Liquidation
선물거래 강제청산
코인선물거래에서 강제청산이란 투자자의 손실이 증거금만큼 발생할 때, 거래소가 빌려준 자금의 손실을 막기 위해서 자금을 회수하는 절차입니다.
강제청산을 좀 더 쉽게 설명을 하자면?
한 마디로!
손해가 너무 커지기 전에 거래소가 자동으로 거래를 종료시키는 것입니다.
쉽게 예를 들어볼게요
1. 당신은 비트코인이 오를 것이라고 예상하고 선물거래를 시작합니다. (이걸 롱 포지션이라고 해요)
2. 가진 돈 10만 원으로 10배 레버리지를 걸면, 100만 원짜리 거래를 하게 돼요.
3. 그런데 예상과 다르게 비트코인 가격이 떨어지면 손해가 나기 시작해요.
4. 이 손해가 너무 커서 당신이 투자한 10만원이 거의 다 사라질 수준이 되면...
5. 거래소가 자동으로 말합니다.
👉 "이 사람 돈 다 날리기 전에 우리가 먼저 거래를 종료해야겠다!"
➤ 이게 바로 강제청산이에요!
왜 거래소가 강제로 종료할까요?
거래소는 당신이 레버리지를 쓸 수 있도록 돈을 빌려준 것과 비슷해요. 그런데 만약 손해가 너무 커지면 빌려준 돈까지 못 돌려받을 수도 있죠.
그래서 거래소는 미리 정해진 위험 수준이 오면 강제로 거래를 종료해서 손실이 더 커지지 않게 막는 거예요.
강제청산을 당하면 어떻게 되나요?
강제청산은 증거금(투자금)만큼의 손실이 발생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강제청산을 당하면 투자금은 0원이 되거나, 0원에 가깝게 됩니다.
강제청산을 피하려면?
✅ 레버리지를 낮게 설정하세요.
✅ 손절 라인을 미리 정해두세요.
✅ 자신이 감당 가능한 수준의 자금만 투자하세요.
선물거래는 큰 이익도 가능하지만, 큰 손실도 항상 따라올 수 있다는 걸 잊지 마세요!